시원한 바다가 생각나는 여름이다. |
[새벽 칼럼=이관순 발행인] ‘서경’ 대우모(大禹謨)편에 이런 말이 있다.
“임금이 자기가 임금 노릇하는 것을 능히 어렵게 여기고, 신하가 자기가 신하 노릇하는 것을 능히 어렵게 여기면, 정치는 잘되어 백성들도 그에 감화된다"고 했다.
”대통령과 국회와의 관계가 시끄럽다. 최근 들어서는 구미시와 구미시의회와의 관계도 매끄럽지 않다. 공무원 사회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정치인이나 대통령, 자치단체장에게는 인내와 소통의 미학이 요구된다. 자신의 결점이나 잘못을 지적받고 좋아할 사람은 없다. 지적이나 비판을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려면 굉장한 인내심이 필요하다.
중국 역대 황제 가운데 당나라의 태종만큼 간언을 좋아했던 군주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처음부터 간언을 좋아했던 게 아니다.
어느 날 태종이 책사인 위징에게 물었다.
“의견을 말해주는 사람이 통 없으니 도대체 어찌 된 일이오.”
위징이 답했다.
“옛날부터 자기 맘대로 행동하는 제왕이 많았소. 그들은 간언하는 무고한 부하를 죽이기도 했오. 그대께서 옛 제왕의 길을 가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없소. 미움을 살까 두려워 좀처럼 말하지 않소. 또 지위에 집착하는 사람은 섣불리 말을 꺼냈다가 힘들게 오른 지위를 뺏길까 봐 두려워 적극적으로 말하려고 하지 않고 있소. ”
위징의 충고를 가슴에 새긴 태종이 말했다.
“그대의 말이 옳소. 신하가 군주에게 간언하려면 죽음을 각오해야 하오, 이는 사형장에 끌려가거나 적진 한가운데로 뛰어 들어가는 것과 같소. 두려움 없이 간언하는 신하가 없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오. ”
그리고 태종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짐은 앞으로 겸허한 자세로 간언을 받아들일 생각이오. 그러니 그대들도 괜한 걱정 말고 거리 낌없이 의견을 말해주오.”
이후, 태종은 평생 겸허한 자세로 신하의 의견에 귀를 기울였다고 한다. 역사서들이 태종의 태평성대를 써 내린 까닭이다.
다른 사례를 하나 더 들어보자.
향우와 유방은 진의 시황제가 죽은 후 천하를 얻기 위해 패권 다툼을 벌였다. 결국 유방이 항우를 이기고 천하를 통일해 한의 왕조를 세웠다. 그러나 이 싸움에서 처음에는 항우가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하지만 유방은 끈질기게 열세를 만회해 마침내 역전승을 거뒀다.
승전의 이유는 어디에 있었을까.
유방은 승리의 비결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짐에게는 소하, 장량, 한신이라는 유능한 인재가 있소, 짐이 항우를 이길 수 있었던 비결은 이들을 잘 다스렸기 때문이오, ”
유방은 이처럼 수하에 있는 인재 세 명을 잘 다스려 승리를 거뒀다. 부하를 잘 다스렸다고 해서 수족처럼 부렸다는 의미가 아니다. 유방은 그들의 비판과 지적에 귀를 기울이고 좋은 의견은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직접 명령을 내리거나 지시하지 않고 부하의 의견이 옳다고 판단되면 실행하도록 했다.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보도가 이어진다. 격노의 사전적 의미는 ‘몹시 분하고 노여운 감정이 북받쳐 오름’을 의미한다. 격노하는 대통령에게 바른 소리를 할 이가 몇이나 되겠는가. 태종도 처음에는 격노의 정치를 즐겼다. 바른말을 하는 신하들의 목숨을 쳐낼 정도로 포악했다. 그러나 간언의 정치를 하면서 태종 시대는 태평성대를 이뤘다.
대통령의 지지율이 바닥을 치는 이유 중의 하나는 “간언의 정치‘보다 ’격노의 정치‘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인이나 단체장들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대목이다.
이관순 발행인 gbp1111@naver.com
사진=경북정치신문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