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유치와 함께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연구실증단지 구축이 이차전지 소재·부품산업 육성을 위한 주된 과제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 의원과 간담회 참석자들은 이날 전기차 배터리 제조 대기업과 함께 2011년이후 정부 지원이 눈에 띄게 줄어든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등 소재·부품 관련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연구실증단지 구축과 민·관 정책펀드 조성에 뜻을 같이했다.
이차전지 전문가들은“정부의 꾸준한 지원에 힘입어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이 이차전지 제조면에서 국제경쟁력을 갖췄지만, 소재·부품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과 투자가 부진한 면이 없지 않다”면서“앞으로 공정혁신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에너지밀도 혁신을 통해서 전지성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소벤처기업들은 최근 이차전시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에 발맞춰 다양한 연구개발을 통해 제품을 내놓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시험, 평가, 인증을 할 수 있는 기관이 없어 상용화에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소재·부품을 개발하고 표준전지(Cell)에 적용한 시제품을 만들고 성능을 검증하는 일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담당하는 연구·시험·인증기관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실증단지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간담회에 참석한 정부·기관·업계 관계자들은 “리튬이온전지 시장은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중대형 배터리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적게 잡아도 매년 16.3% 증가하는 신장세를 보일 것”이라며 “전지시장의 급증세와 맞물려 소재·부품 시장은 연평균 29.5%늘어나는 추세여서 2020년에는 2014년보다 4.7배나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삼성SDI와 LG화학은 소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세계 시장점유율을 48.2%,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은 ESS세계시장점유률을 89.2%로 끌어올렸다. 특히 전기차 및 ESS용 이차전지시장은 매년 늘어나면서 2018년 들어서는 전년보다 21.7% 증가했다.
2017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이차전지 소재시장 점유율은 양극재 9%, 음극재 3%, 전해액 11%, 분리막 10% 등에 불과한 실정이다.
간담회에서 김 의원과 면담한 전문가들은 이와 함께 ▲전해질액을 고체로 대체해서 품질을 드높이는 전고체 리튬이차전지 개발 ▲발화 위험성이 낮고 수명이 길며 용량 증감이 용이해 차세대 ESS소재로 각광받는 레독스플로배터리(RFB) 개발 ▲폐이차전지 활용과 같은 다양한 신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최근 이차전지산업이 새로운 유망업종으로 부상하면서 광주광역시, 제주도, 포항시, 충북 오창 신도시 등 여러 지자체들이 우수한 연구시설, 관련기업 접근성 등 나름대로의 이점을 내세워 이차전지관련 기관 유치와 단지 조성 등에 열 올리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