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북정치신문

대기업 해외 이전과 맞물린 인구 40만 붕괴설, 무감각한..
기획·연재

대기업 해외 이전과 맞물린 인구 40만 붕괴설, 무감각한 구미시

김경홍 기자 입력 2020/07/15 19:32 수정 2020.07.15 21:11


김천, 상주 인구 회복 위해 행정력 올인
무등록 구미시 거주 인구 3-5만 명 추정
주소 갖기 범시민운동조차 손 놓고 있는 구미시
인구 급감설은 투자기업 심리에 악재로 작용


[경북정치신문=김경홍 기자]  LG전자가 TV사업부의 인도네시아 이전을 공론화한 6월 이후 구미에 인구 40만 시대가 무너졌다는 괴소문이 나돌고 있다. 대기업의 해외 이전으로 민심이 흉흉한 상황에서 인구가 급감했다는 설은 정설처럼 확산해나가고 있다. 하지만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풍문을 잠재워야 할 구미시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러한 설을 바로잡아야 할 책무를 지닌 의원들 역시 침묵이다.
인구의 증감이 도시의 현 상황을 판가름하는 기준표가 된다는 점에서 근거 없는 40만 인구 붕괴설은 서둘러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1965년 당시 경북도 내에서 최대의 인구를 자랑하던 상주군의 인구는 26만 5천 명이었다. 또 이웃해 있는 김천시는 1949년 시 승격 당시 금릉군을 포함해 19만 명에 육박했고, 1960년대로 들어서면서 21만 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 3만 명에 불과하던 전형적인 농촌에서 내륙최대의 공단으로 발돋움한 구미의 팽창과 맞물린 김천과 상주의 시세는 약화하기 시작했다. 도시기반이 흔들릴 만큼 두 지역의 인구가 구미로 몰려든 결과였다.

그로부터 50년이 흐른 2020년 6월 말 현재 인구 증가 시책에 손을 놓고 있는 구미는 인구 감소와 함께 급감설에 휘말려 있지만 김천과 상주는 인구 감소 기류를 강하게 막아서면서 초고령 사회 진입에도 불구하고 보합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인구 15만 시대 향해 행정력 올인
1905년 경부선이 완공되면서 김천역이 건설될 당시만 해도 김천은 사통팔달의 교통 중심지이자, 물류 도시로서 성장을 거듭해 왔다. 대구시의 인구가 31만 4천 명이던 시 승격 당시인 1949년만 해도 김천시(금릉군 포함)의 인구는 18만 9천 명이었고, 1960년대 중반에는 21만 명을 마크하면서 경북에서 가장 번창한 도시 중 하나로 명성을 날렸다.

하지만 1970년대 들어 산업화의 바람이 불어닥치면서 포항시와 구미시가 급격한 성장을 이뤄냈지만 뚜렷한 성장 동력이 없던 김천은 도시를 지탱해 온 중심축인 20~40대가 인근 도시인 대구광역시와 구미시 등지로 일자리를 찾아 나서면서 1990년대 들어서는 15만 1천여 명까지 급감했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면서 국회의원 단일선거구의 마지노선인 인구 15만 시대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인구 증가 시책을 마련하는 등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였지만 , 생산 인구의 유출 등으로 결국 인구 15만 시대마저 깨지면서 행정조직 감소의 마지노선인 13만 5천 명도 유지하기 힘든 처지에 놓여야 했다.

1960년 19만 1천 명, 1965년 21만 3천 명, 1970년 19만 5천 명, 1980년 17만 7천명, 1990년 15만 1천 명, 2000년 15만 6백 명에 이어 2010년에는 13만 6천 명 선으로 무너져 내린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 속에서 공공기관 지방 이전 사업인 혁신도시 유치와 전국 최저 분양가로 잘 알려진 일반산단을 성공적으로 분양하면서 인구 15만 명 시대를 목전에 누고 있다.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역풍을 만난 김천은 이미 노인 인구 비율이 22%를 넘어서면서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지만, 악조건을 극복하면서 매월 인구가 보합 혹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비결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시는 2019년 1월 조직개편을 통해 인구 정책계를 신설해 추가적인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실거주 미전입 자의 전입을 유도하기 위한 ‘김천 愛 주소 갖기 운동 ’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등 다양한 인구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출생 대비 사망자가 300명이 넘는 순감소에도 불구하고, 인구 늘리기 범시민운동과 인구증가 시책 사업의 효과에 힘입어 순수한 전입이 자연감소를 통해 발생한 균열의  틈을 거뜬하게 메꿔나가고 있다.

▲인구 10만 무너지자 공무원들 검정 넥타이 차림으로 출근
1965년 26만5천 명이던 상주시 인구는 50여 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 급기야 2019년 1월 말 10만 3809명으로 내려앉은 인구는 2월8일에는 9만 9,986명으로 10만 시대를 사수하는 데 실패했다. 이런 상황에서 공무원들은 인구 10만을 지키지 못한 자성의 의미를 담아 검정 넥타이 차림으로 출근했다. 결연한 의지가 세간의 화제가 될 정도였다.

내 고장 주소 갖기 운동과 공무원들이 주도한 ‘공직자 상주사랑 +1운동’을 펼쳤지만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상황에서 사망으로 인한 자연 감소율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상주시는 현재 인구 10만 시대 회복을 위해 고등학교와 대학교 신입생 주소 이전 추진 등 단기적 대책과 스마트팜 혁신 밸리와 도 농업기술원, 상주 일반산업단지 조성 등 중장기 대책 마련을 통한 인구 유입 여건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지역발전과 인구 10만 명 회복을 위해 연일 경북대를 상대로 통합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등 의회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2008년 경북대와 상주대 통합 당시 약속한 부총장 제도 도입 폐지와 행·재정권의 대구 캠퍼스 이관으로 통합 전 1천152명의 입학정원이 통합 후에는 730명으로 37%나 감소했기 때문이다.


↑↑ LG전자 TV사업부의 인도네시아 이전이 공론화한 6월 들어서면서 인구 40만 시대가 무너졌다는 괴소문이 나돌기 시작했지만 구미시는 뒷짐이다. 김천이나 상주처럼 그 흔한 주소 갖기 범시민운동마저도 손을 놓은 상태다. / 사진= 구미시 제공


▲인구 감소에도 손 놓고 있는 구미시
구미시 인구는 2017년 1월 31일 42만 시대를 회복한 42만 48명에서 2018년 10월 31일 기준 42만1812명을 마크하면서 다시 43만 시대를 열었으나, 2020년 6월 말 현재 41만 7480명으로 42만 시대로 또 내려앉았다.

수도권 규제 완화 바람이 몰아치면서 위기감을 불러일으킨 2005년 당시만 해도 미래로 향해 뛰어가는 구미의 꿈은 찬란했다. 인구 50만 시대, 수출 500억 불 달성은 머지않은 시기에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했다.
특히 2011년 들면서 년간 1만 명의 인구가 늘어나자, 시는 인구 50만 시대 원년을 2015년으로 앞당겨 잡기까지 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9년이 흐른 2020년 현재 인구는 42만 시대의 명맥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을 정도다.

특히 LG전자 TV사업부의 인도네시아 이전이 공론화한 6월 들어서면서 인구 40만 시대가 무너졌다는 괴소문이 나돌기 시작했지만 시는 뒷짐이다. 김천이나 상주처럼 그 흔한 주소 갖기 범시민운동마저도 손을 놓은 상태다. 인구 감소는 물론 확산하고 있는 인구 급감설은 기업 유치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극복해야 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전직 근로자 A 모 씨는 “대기업의 그늘에 안주해 온 기생적 사고방식이 결국 인구 급감설에도 불구하고 손을 놓고 있는 안이한 상황을 낳고 있는 것이 아니냐”면서 “자생력을 키우는 노력이 대기업 유치보다도 더 값진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정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