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정치신문=김경홍 기자] 정부와 대구시, 경북도가 구미 해평취수장의 구미•대구 공동 이용을 위해 제시한 1조 원 규모의 구미시 경제 활성화 사업이 ‘앙꼬 없는 찐빵’으로 평가되면서 구미 경제계는 물론 시민 공감대 확보에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대구시 등은 당초 구미공단과 통합 신공항 간 연결 도로(1,500억 원), 하수처리장 현대화 및 증설사업(6천억 원), 이계천 통합•집중형 오염지류 개선사업(1,298억 원), 단계천 복개 철거 및 하천 정비사업(450억 원), 산동-장천 간 다목적 농업용수 개발사업(374억 원) 등을 추진키로 하는 구미시 경제 활성화 사업안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구미경실련은 16일 성명서를 통해 구미공단 KTX와 강변여과수가 아닌 대구 취수원 다변화 해법을 제시하면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성사시키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이러면서 대구취수원 다변화 ‘조건부 찬성’입장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취수원 연계한 구미권 KTX역 신설 왜 배제했나
구미경실련에 따르면 서울시는 2011년 강북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구의·자양 취수장을 잠실 수중보 부근에서 15㎞ 상류 팔당댐 아래 남양주시 강북취수장(서울시 운영)으로 이전·통폐합했다. 남양주시→구리시→서울시→한강으로 흐르는 왕숙천의 오염된 생활하수가 구의·자양 취수장으로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수원을 왕숙천 한강 유입부 상류로 이전한 것이다. 대구시와 똑같은 명분이다.
대구시 등 행정구역별로 취수원을 운영하는 지방 상수도가 많은 낙동강 수계와 달리 수도권 공동이용 취수원인 한강 수계의 ‘기존 취수장으로 상류 이전·통합’이어서 이전지역인 남양주시의 집단 민원이 있을 이유가 없었다. 실제 구의·자양 취수장이 남양주시 강북취수장으로 이전·통합하면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강북취수장에서 남양주시에 공급하는 수돗물을 기존 1일 6만t에서 11만t으로 5만t을 추가 배분하는 등 이전지역과의 이해관계 충돌이 없는 경우이다. 따라서 보상지원금도 남양주시 105억, 구리시 47억 등 152억 원일 만큼 크지 않았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서울취수원 남양주 이전’은 집단 민원 없이 행정기관 간 협의로 합의했는데, 남양주시와 관로가 지나는 구리시가 서울시에 요구한 보상 1순위는 도로 확장 등 교통 인프라 확충이었다. 이처럼 모든 지역을 막론하고 교통 접근성 개선이 지역발전 과제의 1순위이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정부와 대구시는 구미시 경제 활성화 지원 사업 규모가 1조 원에 이르지만 구미공단 교통 접근성 개선의 1순위인 구미권 KTX 신설 방안을 배제했다. 결국, 2012년 총선 쟁점화 이후 9년째 답보상태인 구미권 KTX 역 신설이 국가 현안과 연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간과한 것이다.
지금까지 구미시와 지역 정치권은 KTX 구미 유치 방안으로 ▶구미역 정차 방안과 ▶칠곡군 북삼면 KTX 선상 간이역 신설안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사업 규모가 구미시 추정 3,400억 원인 구미역 정차 방안(KTX 김천 보수기지→경부선(국철)→김천역→구미역→KTX 약목 보수기지)은 백승주•장석춘 전 의원이 추진한 것으로 두 차례에 걸친 국토부의 예비타당성 용역 결과 ‘경제성 없다’는 이유로 무산됐다. 또 구미시가 올 7월 2억 원을 들여 다시 타당성 용역을 발주했으나 국토부는 여전히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또 칠곡군 북삼면 KTX 선상 간이역 신설 방안은 LG디스플레이가 2015년 7월, 1조5백 원을 투자하면서 구미시에 1순위로 비공개 건의한 것으로 당시 지역경제계도 선호했으나, 국토부가 “서울 방향 곡선 때문에 역사 위치 부적합”하다며, 불가 입장을 밝혔다.
그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안이 북삼 간이역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서울 방향 곡선’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KTX 약목 기지에 간이역 신설방안이다. 특히 이곳에 간이역을 설치할 경우 경제성과 함께 구미 승객이 KTX 김천(구미)역과 약목 간이역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김천시의 저항을 약화하는 유리한 측면도 있다.
↑↑ 구미해평 취수장/ 사진 = 구미 상하수도 사업소 제공 |
◇환경부의 부산·경남(강변여과수)과 대구·경북(표류수) 수돗물 원수 차별 무관심
구미경실련에 따르면 강변여과수는 김해시와 창녕시 일부 지역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사례에서 이미 증명됐듯 댐 물보다 안전하고 질 좋은 수돗물 원수이다.
대구에서 낙동강 물을 취·정수해 공급받는 시민들이 운문댐 물을 취·정수해 공급받는 수성구·동구 시민들을 부러워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환경부는 지난 8월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용역 중간발표에서 대구·구미와 달리 부산·경남엔 강변여과수와 하천 복류수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대구·구미는 기존 하천표류수를 그대로 공급하고, 부산·경남은 안전하고 질 좋고 생산비가 비싼 강변여과수를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구미경실련은 “ 대구시는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질 좋은 물을 공급하겠다는 근본적인 의지보다 강변여과수는 차치하고 구미시에서 하천 표류수 공동이용이라도 동의해준다면 감지덕지하겠다는 태도”라고 비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